목록전체 글 (97)
유미가 들려주는 이야기
영아는 자신이 애착을 느끼는 대상을 안전 기지로 사용하는데(Bowl by, 1988), 발달의 기초를 이루는 영유아기에 부모는 자녀에게 안전 기지 역할을 하게 된다. 유아는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며 자신이 속한 환경을 마음껏 탐색할 수 있게 되고 탐색 후에는 안전 기지인 부모에게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탐색과 휴식을 반복하면서 유아는 더 큰 세상에 나갈 준비를 하게 된다. 이처럼 유아는 가정에서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응에 필요한 규범과 기술을 배우게 된다. 그리고 어머니와 자녀 관계에 있어서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애착은 부모-자녀 간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Kim, N. Y, 2010). 특히 생애 초기에 형성된 애착 유형이 성인의 애정 관계에 미치는 ..
전통적인 사회적 인식에서의 주 양육자는 어머니였으며, 그러한 인식이 사회에 널리 퍼져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시대는 산업화로 인한 급격한 변화의 격랑 속에 있으며, 새로운 문화의 도입과 그에 따른 인식 변화로 인하여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역할이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되고 있다(김명숙, 2008). 어머니의 양육 태도 또한 시대적 문화에 맞게 바람직한 형태로 전환될 때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어머니의 양육 태도는 어머니가 자녀 양육에 있어서 일반적 또는 보편적으로 나타내는 태도를 의미하는데, 이는 자녀와의 관계의 질을 결정하고 전인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이원영, 1983).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양육 태도를 온정과 적대, 허용과 통제, 지나친 관심과 방관의 3차원으로 분류하여 부모 ..
자기 조절은 유아기 이후의 인지․사회․정서적 발달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이다(Kopp, 1982). 자기 조절력이 높으면 불안, 분노,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 상황에서 스스로 조절하므로 갈등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공격적인 행동과 같은 부적절한 행동을 조절하여 스트레스에 적극적인 대처를 시도한다(Compas와 Connor-Smith, Saltztzman, 2001). 반면 자기 조절력의 부족은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으면서도 행동으로 옮겨지지 못하고 도덕적 판단과 행위가 일치되지 않아 인간관계의 규범 준수에 방해요인이 된다(송명자, 2003). 특히, 부정적인 정서가 큰 상황에서 자기 조절력이 더 큰 의미로 작용하게 되며, 자기 조절 능력이 잘 발달된 유아는 사회적 능력도 우수하고..
우리 사회에는 자신의 욕구와 충동을 조절하지 못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사회적 규범에 반하는 반사회적 행동을 하는 사건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반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한데, 감정과 관련된 부분으로 정서조절 중 자기 조절력을 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자기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그에 따라 사회적 문제행동이 늘어나고 있는 지금의 현실을 볼 때, 개개인이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조절하며 대응하는 친 사회적 행동이 절실히 요구된다. 사회의 구성원들이 스스로 생각, 감정, 행동을 사회적 요구에 맞게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대처하는 능력은 시대를 막론하고 필수 불가결한 것이지만, 상시적 위험이 일반화된 현대사회에서는 자기 조절력이 더욱 중요한 개인의 자질..
King과 Emmons(1990)는 정서적 행동을 그 자체보다 그 행동의 이면의 목표와 신념의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치고, 정서 표현 자체를 통제하면서 심리적인 증상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연구자들은 단순히 정서의 표현성이 낮은 것이 역기능적이지는 않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들은 연구를 통해 정서 표현에 대한 내적인 갈등이 심리적 건강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Josephs, Williams, Irwing & Cammock, 1994; King & Emmons, 1990; Pennebaker, 1985; 최해연, 민경환, 2008).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정서 표현 양가성이 높은 사람들이 신체질환과 심리적 ..
부모화와 관련한 선행연구 결과, 부 모화 된 자녀들은 종종 우울, 자기 비난, 낮은 자아존중감 등을 경험하고, 불필요한 걱정, 사회적 소외감, 신체화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yng-Hall, 2002). 또한 수치심과 과도한 죄의식, 피학적 성격, 자기애적 성격, 정신분열(splitting)을 보이기도 한다(Wells & Jones, 2000). 또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심리적 부적응의 하위요인인 우울/불안, 신체증상, 위축 등의 변인이 부모화 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강원희, 유순화, 윤경미, 2010). 심리적 부적응과 높은 상관을 보인 것은 부모화 변인 중 불공평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부모화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불공평성으로 인해서 신체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
King과 Emmons(1990)는 인간이 추구하는 목표와 삶의 질의 관계를 연구하였는데, 이 연구를 통해 갈등을 해결하거나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과 갈등을 지속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목표를 성취하는데 수반되는 억제적인 경향이라는 것이 밝혔다. 이러한 갈등이 정서적 표현과 관련된다는 점을 토대로 정서 표현 양가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정서 표현 양가성 척도(AEQ)를 개발하였다. 정서표현양가성은 정서를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지만 이를 억제하거나 표현한 것을 후회하고 갈등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서 표현 양가성에 대한 여러 선행연구가 진행되면서 국내에서는 한국에서 나타는 정서 표현 양가성의 구조와 특성을 살피는 연구(최해연, 민경환, 2007)가 진행되었으며 이 연구..
신체화는 뚜렷한 몸의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데도 몸이 아프거나 불편하다고 느끼고, 신체 증상에 사로잡혀 있는 것을 말한다(신현균, 2016). Lipowski(1998)는 신체화를 의학적으로 원인을 설명하기 어려운 신체 불편감과 증상을 경험하고, 그것을 타인에게 호소하는 경향, 그 원인을 신체 질병에 있다고 생각하고 병원에 가거나 약으로 치료하려는 경향이라고 정의하였다. Kellner(1991)는 한 개 이상의 신체 증상을 호소하고, 의학적 평가를 통해서 이러한 증상을 설명하기 어려우며, 신체적인 질병이 있어도 신체 증상으로 나타나는 일상생활에서의 곤란이 실제 신체적 질병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것보다 더 클 때를 신체화라고 정의하였다. 신체화의 개념은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보기도 하는데(DeGuch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