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미가 들려주는 이야기
호나이의 기본적 불안 본문
호나이는 사회적 힘에 의해 발생하는 불안을 우리가 처리해야 하는 기본적 인간 조건이라고 하였다. 이 말은 인간으로서 우리의 본질적 도전은 타인과 효과적으로 관계하는 것에 있다는 것이다. 개인이 맺는 관계로부터 시작되는 관계의 불안전감에서 비롯되는 기본적 불안은 호나이의 기본적 개념이다. 기본적 불안은 신경증의 토대가 된다. 호나이의 기본적 불안은 '적대적 세계에서 자신도 모르게 증가하는 모든 측면에 파고드는 고독과 무력감'이라고 정의된다. 적대적 환경에서 아이들은 자신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자존감을 지키고 신뢰를 발달시킬 능력이 위협받는다는 것을 느낀다. 아이들은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부모 또는 자신을 돌보는 사람에게 의존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부모는 아이들의 욕구를 만족스럽게 충족시키기 어렵다. 이는 부모가 아닌 주양육자 역시 마찬가지이다.
호나이는 아이에게 안전감을 줄 수 없는 환경속의 모든 부정적 요인을 '기본적 악'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부정적 조건은 지배, 고립, 과보호, 적의, 무시, 부모 불화, 무관심, 일관되지 않은 행동, 돌봄과 지도의 결여, 애정과 격려의 결여 등 모든 것들을 포함한다. 아이는 전체로서 환경을 비현실적이며 위험하고, 부당하며, 위협적으로 지각한다. 그래서 공포감,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아동기에 아이는 네 가지 방식으로 기본적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자 한다. 그 네 가지 방식은 사랑과 애정의 확보, 힘 획득, 복종, 철회를 의미한다. 아동들은 이러한 자아 보호 기제를 사용하여 자신을 불안으로부터 지키고자 한다.
사랑과 애정의 확보
아이들은 타인으로부터 '사랑과 애정을 확보'함으로써 기본적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고 한다. 이러한 기제를 사용하는 아이들은 '만약 당신이 나를 사랑하면, 당신은 나를 해치지 않을 것이다'라는 생각을 전제로 한다. 아이들은 사랑과 애정을 확보하기 위해 타인이 원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을 들어주기 위해 노력하거나, 타인에게 잘 보이기 위해 아부하기도 한다. 또한 아이들은 자신이 바라는 애정을 위해 때로는 타인을 위협하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역설적이지만 그만큼 아동들은 사랑과 애정을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힘 획득
타인을 넘어서는, 능가하는 힘을 갖게된다는 것은 남보다 내가 더 우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힘을 얻고자 하는 아동은 '만약 내가 힘을 가지면, 누구도 나를 해칠 수 없을 것이다'라는 생각을 전제로 한다. 아동들은 자신이 힘이 세다면 남보다 우월하고,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힘 획득을 통해 아동들은 자신의 무력감을 보상하고, 자신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고 여긴다. 어렸을 적의 호나이는 자신을 지키고, 기본적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여 힘을 얻고자 했다.
복종
아이들은 자아보호의 수단으로써 복종을 활용하기도 한다. 위협적인 사회환경에서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누군가의 소망에 복종하면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복종 기제를 사용하는 아동은 '만약 내가 당신에게 복종하면, 당신은 나를 해치지 않을 것이다'라고 생각한다. 타인에게 복종하여 자신을 불안으로부터 지키고자 하는 아동들은 타인에게 반감을 사는 행위를 기피한다. 타인을 비판하거나 공격하는 행위는 자신의 복종 기제를 약하게 만든다고 여긴다. 그래서 자신의 복종 기제를 강화하기 위해 자신의 욕망과 감정을 억압하는 모습을 보인다. 복종 기제를 사용하는 아이들은 자신을 괴롭히고 학대하는 사람에게 두려움을 느끼지만 학대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방어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자신을 희생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철회
자신을 기본적 불안으로부터 지키는 마지막 방법은 철회이다. 철회는 관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철회 기제를 사용하는 아동들은 타인과 자신을 신체적으로나 정신적, 심리적으로 관계하지 않으려고 한다. 타인에게 기본적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지켜달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불안을 해결하고자 한다.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는 독립적인 존재가 되기위해 시도하고 노력하는 것이 철회이다.
이러한 네가지 자아 보호 기제가 갖는 유일한 목적은 자신을 기본적 불안으로부터 지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기제를 통해 행복이나 즐거움을 추구하기보다는 안전과 만족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아 보호 기제는 안녕의 추구보다는 고통을 막기 위한 방어로 보는 것이 맞다. 호나이는 자아 보호 기제가 자신의 개인적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부정적인 성격을 발달시키게 된다고 보았다.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에게 놀이활동이 꼭 필요한 이유 (0) | 2021.02.10 |
---|---|
인간의 인생과 놀이활동의 관련성 (0) | 2021.02.10 |
현대 가족갈등의 원인 (0) | 2021.02.09 |
여성주의자 호나이 (0) | 2021.02.09 |
아들러의 출생순위에 따른 성격유형 (0) | 202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