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유미가 들려주는 이야기

농촌거주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 본문

Story

농촌거주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

_윰윰 2021. 2. 24. 18:00

성역할 태도는 인간관계 속에서 행위나 태도와 관련하여 성별에 따라 적절한 것으로 규정된 문화적 역할 기대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성역할 태도는 두 가지 개념으로 나타나는데, 남성 우위와 역할 분리를 선호하는 불평등 혹은 전통적 태도와 남녀평등과 역할 공유를 선호하는 평등 혹은 근대적 태도의 개념이다. 일반적 성역할 태도의 경향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먼저 살펴보면, 농촌지역 거주 부부의 경우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이,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결혼기간이 짧을수록, 결혼 형태가 중매혼일 경우보다 연애혼일 경우, 그리고 시부모와 따로 살고 있는 경우에 더 근대적 성역할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연구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남녀 역할에 대해 진보적인 성향을 나타낸다는 상반된 결과의 연구도 있었다. 도시가족 대상의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한 가지 특별한 차이점은 도시의 경우 맞벌이의 경우 근대적 성역할 태도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부부 사이의 적절한 가사분담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농촌의 경우 아내가 영농활동에 대부분 참여하고 있지만, 김경미(1998)의 농가의 가사분담을 조사한 연구에 의하면 가사노동을 잘 도와주는 남편은 38.5%였던 반면 나머지 60% 이상은 잘 도와주지 않거나 전혀 도와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 남자가 할 일이 아니라는 응답이 63.3%로 나타나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다양한 변인들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성역할태도는 부부관계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부부 사이에 일치된 성역할 태도는 평등한 부부관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적절한 갈등 해결과 의사소통, 적절한 역할 배분 등을 통해 결혼 만족감을 높게 해 준다. 하지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연구들에서 농촌사회의 전통적 의식이 여전히 도시에 비해 많이 남아 있으며, 특히 남녀의 성역할에 대한 의식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음은 가족 내 갈등의 소지가 될 수 있다. 양명숙(1996)의 연구에 따르면 배우자 간의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가치관 중에서도 성역할에 대한 남편과 아내의 가치관의 차이는 가정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매우 중요한 갈등요인이라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농촌인구가 여성화, 고령화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선행연구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가진다는 점과 여성이 남성에 비해 근대적 성역할 태도를 가진다는 점은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가졌던 농촌 거주 기혼남녀의 사이에 성역할 태도는 부부 사이에 갈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변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 출처 : 픽사베이 >

긍정적 의사소통은 부부관계의 활력을 제공하며 건강한 가족을 위해 필요한 기본 요소이다. 하지만 부부사이에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부부관계에 갈등을 유발하거나 심지어는 관계의 해체까지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건강한 부부관계를 형성하고 만족스러운 결혼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불행한 결혼을 한 사람들과는 달리 행복한 결혼을 한 사람들은 그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서로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으며, 건강한 가족일수록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위하여, 즐거워지기 위하여, 긴장감을 줄이기 위하여, 애정과 배려를 표현하기 위하여 대화를 쉽게 풀어나가기 위하여, 그리고 어려운 상황을 극복해나가기 위하여 유머를 자주 사용한다. 반면, 문제를 가진 가족들의 경우 부정적인 자극과 반응의 교환 작용, 대화의 단절, 대화기술과 문제 해결 능력의 부족, 갈등관리와 분노조절 능력의 부족 등으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부가 내적 심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거나 가족 체계의 문제로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그 가족은 어려움을 겪게 되고 부부 체계는 경계가 와해되어 부부가 서로를 적대시하게 된다. 이것은 또한 단순히 부부만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 전체 특히 자녀와의 관계 형성에서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부부의사소통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김화자․윤종희(1991)는 의사소통 효율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부부관계의 공동 여가 활동의 빈도가 높을수록 부부의 결혼 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 또한 Lewis와 Spanier(1979)는 결혼생활의 질은 부부관계에서 적절한 의사소통, 현명한 판단,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감, 결혼생활 행복감으로부터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하였다. 농촌가족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가족 상담과 교육의 내용 가운데 의사소통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자들 역시 원만한 가족의 갈등 해결과 부부관계 향상을 위해 농촌가족을 대상으로 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종래에 지배적 남편과 복종적 아내 상이 요구되던 전통사회와 달리 현대가족에서는 도시와 농촌을 막론하고 우애적 부부관계를 지향하고 부부간의 의견 조율과 합의가 가정생활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안연주, 2008, 농촌거주 기혼남녀의 가족상담요구와 관련변인, 상명대학교 대학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