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유미가 들려주는 이야기

가족상담이 필요한 이유 본문

Story

가족상담이 필요한 이유

_윰윰 2021. 2. 5. 09:47

 

아이들 < 출처 : 픽사베이 >

 

가족상담에 대한 관심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중요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일부 상담 전문가들은 가족을 배제한 상담치료는 치료 효과가 지지부진하다고 말하기까지 한다. 사회는 점점 복잡해지고 변화 속도는 하루에도 수십 번 바뀔 만큼 매우 빠르다. 그 누구도 변화 속도를 예측할 수 없는 시대를 우리는 살아가고 있다. 그런 사회는 개개인에게 굉장히 무겁고 잔인하리만큼 힘든 사회적 압력을 주고 있다. 사회적 압력은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스트레스와 한계를 넘어서는 스트레스는 고스란히 주변 사람들 특히 소중하고 중요한 사람들에게 피해를 끼치고 있다. 대표적인 사람들이 바로 가족들이다.

 

가족상담 전문가들은 가족이 상담을 요청하면 가족이라는 개념 속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들을 다루어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한다. 이렇듯 가족상담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가족상담에 대한 연구나 임상적 시도는 그리 많지 않았다. 개인이 아닌 집단인데다 논의에 대한 정확한 과학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많은 상담가들이 가족상담을 독립된 하나의 치료적 개입방법이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임상적인 문제에 접근해가는 부수적인 방법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 가족상담의 부족한 부분이다.

 

체계론적 관점에서 가족의 문제를 본다면 가족상담은 하나의 확립된 치료방법이며 어떤 가족과 가족상담을 시작할 때 상담자가 어디까지 개입할 것인지 범위를 결정하는것은 가족상담의 이해를 높이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체계론적 관점은 모든 정신 또는 심리적인 문제는 가족상담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가족상담을 하고자 하는 상담가는 대상이 한 명이든, 여러 명이든 인원수에 상관없이 대상자의 가족 전체를 상담 대상으로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가족에게 역기능이 존재한다고 인정한다. 그래서 가족이 역기능을 보이고 있거나, 주 호소 문제가 역기능과 관련이 있다면 가족상담을 추천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가족의 역기능이란 어떤 것인지 제대로 정의하기 어렵다는 것에 있다. 가족의 순기능 또는 가족이 기능하고 있다고 설명하는것부터 상당히 주관적이고, 상황을 반영하여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가족의 기능부터 제대로 정의하지 못하고 있기에 가족의 역기능 역시 합의가 도출된 정의를 내릴 수 없다. 그럼에도 가족 상담가는 가족이 제대로 기능하고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어떤 것이 잘 기능하고 있는지, 어떤 것이 역기능 또는 문제를 보이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은 대상 가족에게 도움이 필요한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초보 상담가에는 이러한 과정이 어려울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상담 지표가 필요하다. 여기에 발롱 스키너(Walrond Skinner, 1978)의 기준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첫째, 어떤 증상이 역기능에 빠진 가족관계의 체계속에 얽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이다. 문제 증상이 가족체계의 어려움, 힘듦, 역기능을 표현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가족상담은 해당 가족에게 꼭 필요하며 최선의 선택이 될 것이다. 문제는 그와 같은 기준을 세우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도움을 구하고 있는 사람의 주 호소 문제가 특정 가족 구성원의 문제보다도 가족 간의 관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이다. 부부관계, 부모 자녀관계, 형제 또는 자매간의 관계 등 사람 간의 관계가 문제의 핵심이라 판단된다면 가족상담을 추천할만하다. 그러한 관계적 문제는 집단, 가족상담이 효과적이다.

 

셋째, 가족 구성원을 서로 분리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이다. 이런 문제는 주로 어린 자녀 특히 청소년과 관련된 문제가 많다. 청소년은 부모의 보호를 받고 도움을 받아야 하지만, 청소년 입장에서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부모가 스스로 책임지고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할 때 가족을 서로 분리하여 상담하는 것은 상담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 청소년이 보이는 문제적 행동은 대부분 부모의 양육방식에서 비롯되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가 문제인 경우가 많으며 이런 경우 가족상담을 통한 가족에의 개입은 상당한 효과를 보여준다.

 

위에 언급한 세가지 기준은 초보 가족 상담가 또는 가족상담을 받고자 하는 가족들에게 가족이 제대로 기능하고 있는지, 역기능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한 좋은 기준이 될 것이다. 기준을 근거로 가족의 상태를 파악하여 가족상담을 할 것인지, 가족상담이 필요한지 판단하면 된다.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벌이 가정의 가족상담  (0) 2021.02.06
현대심리학의 발달과정  (0) 2021.02.05
성격의 이해  (0) 2021.02.05
가족이 잘 기능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7가지 기준  (0) 2021.02.04
J. M. Lewis의 건강한 사람이란  (0) 2021.02.0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