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미가 들려주는 이야기
신경증적 성격이론의 성격발달과 평가방법 본문
신경증적 성격이론의 창시자인 호나이는 다른 심리학자 또는 성격심리학자들과는 다르게 연령에 따른 성격 발달을 제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동기 때 발달되는 적개심의 억압이 인간의 성격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호나이는 아동기를 안전욕구에 지배되는 시기라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자녀의 안전을 해치는 부모의 행동은 아동에게 적개심을 야기시킨다고 말하였다. 아동은 자신을 학대하는 부모에게 적개심을 가지지만, 부모에게 적개심을 표현하지 못한다고 했다. 그렇기 때문에 아동은 적개심을 억압하게 되는데, 억압하는 이유에는 무기력, 두려움, 사랑, 죄의식 등 네 가지가 있다고 하였다.
무기력
호나이는 유아의 무기력을 매우 강조하였다. 호나이는 아들러와 다르게 모든 유아가 반드시 무기력을 느끼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유아가 무기력을 느끼기 시작하면 신경증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아동의 무기력감은 부모의 행동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다. 호나이는 아동이 의존적인 상태에서 과도하게 보호받거나 응석을 부리도록 내버려둔다면 아동의 무기력이 점차 커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아동이 무기력을 느끼면 느낄수록 부모에게 반대하는, 저항하는 행동을 점차 줄이게 되는데, 이는 아동에게 부모가 필요하기 때문에 자신의 적대감을 억압하는 행동이라고 했다.
두려움
호나이는 아동은 부모의 처벌, 신체적 또는 정신적 학대와 그 외 여러 유형의 위협등을 통해 부모를 두려워하게 된다고 생각했다. 부모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면 커질수록 적대감이 억압된다고 보았다. 어린 아동은 스스로의 힘으로 부모로부터 벗어나 자신을 안전하게 지킬 수 없기 때문에 부모가 필요한데, 부모를 적대시하면 부모가 자신을 더 학대하거나 불안이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켜주지 않을 것이라 여기기 때문이다.
사랑
역설적이게도 사랑은 부모에 대한 적대감을 억압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된다. 이 경우의 부모들은 자신들이 얼마나 아이를 사랑하는지 그리고 아이를 위해 얼마나 많은 것을 희생하는지를 말한다. 그러나 실제로 보이는 사랑과 따뜻함은 그리 진솔하지 못한다. 아동은 부모의 이러한 말과 행동이 자신에게 진정한 사랑을 느끼게 하지 않고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아동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부모가 아니면 자신을 진심으로 아껴주는 존재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모를 향한 적대감을 억압하여 자신을 향한 부모의 미약한 사랑이라도 받고자 한다.
죄의식
아동은 때때로 자신이 느끼는 적대감과 반항심에 죄의식을 느끼기도 한다. 부모에게 분노를 느끼거나 악한 마음을 갖는것 그리고 그러한 마음을 표현하는 것에 죄의식을 느끼는 것이다. 이러한 행동은 자신이 무가치하고 나쁜 사람이라 생각하게 하기 때문이며 죄를 짓는 일이라 여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죄의식은 느끼면 느낄수록 자신의 적대감을 더더욱 억압하게 한다.
호나이는 성격을 평가하기위해 자유 연상과 꿈 분석 기법을 활용했다. 또한 자아분석을 통해 정상적인 성격 발달을 이룰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호나이의 성격평가기법은 다음과 같다.
자유 연상
호나이의 자유 연상은 정신분석학자인 프로이트의 자유연상과 다른 방식을 이용한다. 호나이는 내담자들이 내면의 여러 측면들을 쉽게 왜곡하고 감출수 있다고 여겼다. 또한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사건에 대한 감정 역시 숨길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호나이는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보이는 관찰가능한 정서적 반응들에 집중했다. 이러한 반응들이 타인을 대하는 내담자의 태도를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믿었던것이다. 호나이의 치료는 유아기의 성적인 공상들을 탐색하지 않았다. 현재의 태도, 방어기제, 갈등 등을 평가한 뒤에 아동기적 경험을 탐색했다.
꿈 분석
호나이는 성격을 평가하기 위해 자유연상 외에 꿈 분석 기법을 활용했다. 꿈 분석을 통해 개인의 진정한 자아를 발견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꿈은 건설적인 방식이든, 신경증적인 방식이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표출하는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호나이는 꿈이 자아상과 다를 수 있다고, 사뭇 다른 개인의 태도를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호나이는 프로이트와 달리 꿈 분석에 대한 보편적인 상징들을 해석하지 않았다. 호나이는 '꿈을 이해하는 가장 안전한 방식은 꿈을 꿀 때 내담자가 느낀 감정'이라고 주장했다.
자아분석
우리는 우리 자신의 행동 동기를 발견하고자 할 때 자아분석을 한다. 다른 사람의 의견에 동의한 사람이 실제로 상대방의 의견이 더 논리적이고 더 타당하기 때문에 동의한 것인지, 그저 논쟁을 피하기 위해 동의한 것인지 알고자 하는 것이 자아분석인 것이다. 자아분석은 일상생활 속에서 흔하게 발생하지만 체계적인 자아분석과 일상적인 자아분석에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다.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생활주기의 뜻과 의의 (0) | 2021.02.19 |
---|---|
가족 스트레스 연구동향 (0) | 2021.02.18 |
신경증적 성격 이론의 신경증 경향성 (0) | 2021.02.16 |
놀이 치료의 역사 (0) | 2021.02.15 |
놀이의 효과와 치료 (0) | 2021.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