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유미가 들려주는 이야기

어머니의 자기 조절력이 애착에 미치는 영향 본문

카테고리 없음

어머니의 자기 조절력이 애착에 미치는 영향

_윰윰 2021. 12. 16. 07:53

부모의 양육 행동과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양육자의 역할에 관련하여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어머니는 유아의 사회적 정서적 능력의 발달 기초를 제공하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영향을 준다(공영숙, 2011; Kochanska, 1995). 유아의 자기 조절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주로 나이와 기질(김선영, 김희진, 2014; 장영숙, 2009)과 같은 유아의 개인 내적 요인과 부모의 양육 태도 및 양육행동(성영혜, 윤정희, 2002; 이정란, 2003; Kochanska, Aksan & Koenig, 1995)등 부모 관련 변인인 외적 요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 중 부모의 양육 태도와 자녀의 자기조절능력에 관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다수의 연구에서 부모 자녀와의 관계에서 부모의 양육 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의 핵심적인 요소로 설명되고 있다(김영옥, 홍지명, 김세루, 김권일, 2008). 특히, 부모의 애정적이고 긍정적인 양육 태도는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중 인지적인 면에서 높은 상관을 보인다는 결과도 제시되었다(허정경, 2014).

반면, 부모의 거부적, 적대적, 지시적인 양육 태도는 아동의 성격 및 적응능력 형성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Dunn & Brown, ‘et al.’ 1991). 어머니의 양육 태도에 초점을 두는 선행연구들을 보면 온정적이며, 합리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로서 독립심을 격려하고 지지하는 양육 태도는 유아의 자기 조절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Kochanska, 1995); 이정란, 2003). 이처럼 긍정적이고, 민감하며 일관성 있는 양육 태도는 유아에게 충동억제, 자기통제, 자기조절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반면, 개입, 통제적, 복종 강요, 거부적. 권위주의적 양육 행동은 유아의 저항 및 과제 인내 등 자기통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이경님, 2001). 부모의 지시적이고 통제적인 양육 태도는 아동이 자기조절능력을 형성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조절능력이 낮은 아동은 회피적, 공격적인 모습을 보인다(임희수, 박성연, 2002).

부모와의 긍정적인 유대는 자녀에게 부모의 지시나 요구에 순응하도록 한다. 이러한 결과를 사회학습이론에 의하면, 자기통제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동의 사회화 과정에서 주요 대상인 부모와의 사랑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이경님, 1996). 즉, 부모에게 순응하고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부모의 사랑을 잃지 않기 위한 수단이다. 한편, 유아의 자기통제발달은 유아가 자신의 고통을 조절하고 충동을 억제하는 경험과 감정이입의 경험 시에 그에 대한 적절한 지도를 받아 이루어진다(Goleman, 1995). 즉, 양육자가 유아의 상황을 이해시키고 합리적 지도를 할 때, 유아는 상황 이해와 제시된 규칙 준수의 경험을 통해서 자기 조절력이 발달하게 된다.

반면, 유아를 소유하려고 하거나 지나치게 가까이 두려고 하는 어머니는 유아를 과보호하거나 간섭하고 통제하는 양육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유아의 행동에 대한 자율성을 저해하므로 유아는 사회에서 경험하는 정서를 쉽게 조절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게 된다(설경옥, 2017; Hastings, Rubin, & DeRose, 2005). 그러므로 어머니가 유아를 통제하며 거부적 양육을 한 경우, 유아에게서 직접적인 공격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양육 태도, 정서 표현은 아동이 타인을 이해하고 해석하며 사회적인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기조절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Dunn & Brown, ‘et al.’ 1991). 허정경(2004)은 부모의 양육 태도에 따라 자기조절능력에 개인차가 있음을 보고하면서, 어머니의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 태도가 유아의 자기 조절력과 정적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반면, 어머니가 거부적 양육 태도를 보일수록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유아가 타인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통한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어머니를 통해 전달되는 애정적이고 긍정적인 양육 태도와 정서적 지지가 매우 중요하며, 유아의 자기 조절력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