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유미가 들려주는 이야기

엄마의 양육 태도와 애착과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 본문

카테고리 없음

엄마의 양육 태도와 애착과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

_윰윰 2021. 12. 9. 09:31

부모-자녀 관계는 자녀가 태어나면서 최초로 경험하는 인간관계이며, 자녀의 성격과 행동 특성뿐 아니라 인지 및 정서적인 자기 조절력 발달에도 중요한 연관이 있다(Becker, 1964). 특히 영아기 초기에 형성되는 부모-자녀의 애착 관계는 전 생애에 걸쳐 개인의 심리적 발달뿐만 아니라 관계적인 발달까지 포함하므로 사회관계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박응임, 1995). 애착 이론에 의하면, 발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애착의 질은 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영아기에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유아의 발달에 있어서 어머니의 양육 태도는 유아의 환경 외적 요인 중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들이 그 영향력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 (이진희, 2011; 허묘연, 2000).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부모 자신의 애착이 결혼 후 자신의 자녀 양육 행동이나 자녀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유희정, 강연욱, 이훈진, 2004). 애착유형과 양육 태도 유형의 구체적 관계양상을 알아본 결과, 첫 번째로 안정 애착유형의 경우(김순영, 김환, 2013; Crandell, Fitzgerald, & Whipple, 1997)를 Schaefer(1959)의 애정적 양육 태도, Baumrind(1967)의 허용적 양육 태도, Symonds(1949)의 수용적 양육 태도와 연계할 수 있다. Symonds는 회피 애착유형을 거부적 양육 태도로 보았으며, Schaefer(1959)는 적대적 태도로 개념화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애착유형 및 애착 안정성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홍계옥, 1994; 박웅임, 유명희, 1997)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Ainsworth의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한 애착 분류(유효순, 2012; 박웅임, 1995)연구도 이루어졌다. Schaefer(1959)의 양육 태도를 이용하여 유희정, 강연욱, 이훈진(2004) 이 부모의 애착유형 간 양육 태도 점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애정적 양육 태도에서는 애착유형 간 주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적대적 양육 태도에서는 애착유형 간 주 효과가 나타났는데, 적대적 태도 점수는 회피 애착, 불안 애착, 안정 애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율적 양육 태도에서도 애착유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자율적 태도 점수는 안정, 회피, 불안 애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통제적 양육 태도에서는 애착유형 간 주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즉, 적대적(거부적) 양육 태도 점수가 회피 애착에서 가장 높았고 안정 애착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회피형 애착에서 적대적(거부적) 양육 태도가 나타난 결과이다(김순영, 김환, 2013). 안정 애착의 부모들은 불안정 애착의 부모보다 자녀에게 예민하고 다정하고 좀 더 반응한다(Crandell, Fitzgerald, & Whipple, 1997). 즉, 자녀의 양육 행동에 부모 자신의 애착이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유희정, 강연욱, 이훈진(2004) 등은 애착의 세대 전이를 설명하며 양육 태도와 애착 간의 관계성을 주장하였다. 정택용(2016)의 어머니의 자율적이고 애정적인 양육 태도는 영유아와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신뢰감을 형성해 주므로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김반야(2015)는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 태도가 자녀의 의사소통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부모의 통제적 양육 태도와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 태도는 자녀의 소외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 강차연, 장연집(1999)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애착과 자녀의 문제행동 관계 연구에서 공격성, 내재화, 외재화 문제행동이 빈번한 아동일수록 부모- 자녀 애착이 불안정하다고 하였다.

이 외에도 부적응 행동 및 문제행동은 유아가 부모에 대해 형성한 애착이 영향을 준다는 연구(오재연, 이지현, 2005; 홍계옥, 최경순, 1996)들이 있다. Bowlby는 아동의 애착 행동체계가 부모의 호혜적인 양육 행동체계에 의해 보완된다고 하였다. 아동의 애착 체계처럼, 어머니의 양육체계는 아동을 보호하려는 적응적 기능을 갖는다(George & Solomon, 1999; George & Solomon, 1996). 애착과 보호 적인 양육이 통합된 체계들은 위험으로부터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 조절해나가는 한 쌍의 체계(a dyadic system)로 기능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유영미, 200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