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유미가 들려주는 이야기

놀이치료자의 역전이가 상담에 미치는 영향 본문

카테고리 없음

놀이치료자의 역전이가 상담에 미치는 영향

_윰윰 2021. 6. 23. 07:49

놀이 치료자 2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 검사의 결과를 연구하였다. 해당 검사의 결과에 따라 상담자의 자기 효능감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역전이 관리능력에서 검증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과 치료적 동맹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은 치료적 동맹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치료적 동맹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치료자와 내담 아동 간 치료적 동맹이 높다는 연구결과(정선영, 2011; 조이랑, 이승희, 2016)와 일치한다. 다음으로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5가지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은 역전이 관리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 통찰, 자기 통합, 공감능력, 불안 관리, 개념화 기술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치료 과정에서 내담자에게 생기는 역전이에 대해 효과적으로 반응하고 적절하게 역전이를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역전이 관리능력의 5가지 각 하위요인이 모두 높다는 연구결과(윤선재, 이영애, 2012; 이희진, 2009)와 일치한다. 또한 상담자의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상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전이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이 높다는 연구(Wampold, 2011)도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놀이 치료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의 5가지 하위요인과 치료적 동맹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놀이 치료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의 5가지 하위요인인 자기 통찰, 자기 통합, 공감능력, 불안 관리, 개념화 기술은 치료적 동맹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놀이 치료자의 자기 통찰, 자기 통합, 공감능력, 불안 관리, 개념화 기술이 높을수록 치료적 동맹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역전이 관리능력이 높을수록 상담자 작업 동맹 수준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들(김택준, 신희천, 2016; 한은주, 최한나 2013; Gelso & Mohr, 2001; Hayes & Gelso, 2001)과 일치한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은 치료적 동맹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내담 아동과 치료적 동맹을 잘 맺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내담 아동과 치료적 동맹을 더 잘 형성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정선영, 2011; 조이랑, 이승희, 2016)과 일치한다. 또한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의 3가지 하위요인 중 세부상담기술에서 자기 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치료자는 치료적 협력관계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유미숙, 임혜인, 2006). 이러한 결과는 자기 효능감의 심리적 특징과 관련이 있다.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은 스스로 동기가 부여됨으로 성공을 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성공 가능성을 더 높이게 된다(Schmidit & Deshon, 2010). 이에 자기 효능감이 높은 놀이 치료자는 치료과정에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더라도 자신의 치료기술을 믿으면서 치료를 지속하게 된다. 이러한 심리적 안정감은 치료적 동맹에 긍정적인 힘으로 작용하여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은 치료적 동맹을 예측하는 변인임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치료적 동맹을 향상하기 위해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에 주목하여 이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놀이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이 역전이 관리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 통찰, 자기 통합, 공감능력, 불안 관리, 개념화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은 역전이 관리능력의 각 하위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놀이 치료자의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기 통찰, 자기 통합, 공감능력, 불안 관리, 개념화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Comments